<p></p><br /><br />오늘의 뉴스터치는 8일 만에 가족의 품으로 돌아온 20대 여성 이야기로 시작합니다. <br> <br>먼저 사진부터 보실까요. <br><br>보라색 천을 뒤집어 쓰고 어디론가 향하는 여성이 보이시죠. <br><br>지난달 27일 부산 금정구에 있는 아파트에서 실종됐던 20대 여성입니다. <br><br>가족의 실종신고를 받은 경찰, 이렇게 전단까지 만들어 여성을 찾아 나섭니다 <br><br>이 여성의 여동생 역시 SNS에 "언니가 마음에 병이 있다"라며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그리고 실종 8일 만인 어제, 경찰과 친척이 수색을 하던 중 극적으로 발견됩니다. <br> <br>[경찰 관계자] <br>"금정산 금강암이라고 암자입니다. 친척이 발견을 했습니다." <br><br>이 여성의 8일간 행적을 정리해봤습니다. <br> <br>집에서 사라진 여성은 실종 당일 집에서 직선거리로 1킬로미터 떨어진 초등학교를 지난 사실이 확인됩니다. <br> <br>다음날 오전 7시쯤엔 이 학교에서 2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마을입구를 지나간 모습도 포착됩니다. <br><br>8일간 집을 나와 배회한 뒤 사찰 암자에서 발견된 여성, 어떻게 허기를 달래며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었을까요? <br><br>보시는 것처럼 사찰 주변에 간간이 피어 있는 진달래 덕분이었습니다. <br><br>여성은 발견 직후 경찰에 진달래로 허기진 배를 채웠다고 진술했습니다. <br> <br>또 새들이 먹는 빨간 열매, 계곡 물로 허기와 갈증을 해소했다고 진술했습니다. <br> <br>사찰에서도 음식을 얻어 먹은 사실도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여성은 곧바로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건강에 별다른 이상은 없었고, 경찰 역시 범죄와의 관련성이 없다고 보고 여성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냈습니다. <br><br>뉴스터치 두번째 소식, 자녀의 이름을 논문의 공동 저자로 올린 교수들의 이야기입니다. <br> <br>교육부가 지난해 12월부터 지난달까지 총 두 차례에 걸쳐 미성년인 자녀의 이름을 공저자로 올린 교수 실태를 조사했는데요. <br> <br>이게 바로 그 결과입니다. <br><br>49개 대학, 86명의 교수가 총 138건의 논문에 중, 고등학생인 자녀의 이름을 공저자로 올린 사실이 확인됐습니다. <br><br>학교별로 보면 서울대가 14건의 논문이 발견돼 가장 많았고 성균관대, 연세대, 경북대가 뒤를 이었습니다. <br><br>미성년자인 자녀 이름을 공저자에 올리는 게 불법은 아닙니다. <br> <br>다만 연구에 기여하지도 않았는데, 저자로 표시했다면 부정행위가 되죠 <br> <br>교육부는 부당하게 자녀 이름을 넣은 논문을 가려내고, <br><br>이 논문을 자녀의 대학 입학에 활용한 사실이 있는지 확인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부정행위가 확인되면 입학 취소와 징계, 연구비 환수 조치를 내릴 예정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뉴스터치였습니다.